• 김포도시철도 노조,
    "불안한 민간재위탁 반대"
    "운영 방식 등 주민 의견 반영해야"
        2023년 09월 22일 05:48 오후

    Print Friendly, PDF & Email

    ‘지옥철’로 숱한 안전 문제 논란을 겪은 김포골드라인의 운영방식 결정에 김포시민이 참여해야 한다는 요구가 나온다. 앞서 ‘김포도시철도 민간위탁 차기운영자 선정 동의안’이 김포시의회에서 연달아 부결된 바 있다.

    공공운수노조 김포도시철도지부는 22일 오전 김포시청 본관 앞에서 ‘김포골드라인, 민간 재위탁 반대 기자회견’을 열고 “(민간위탁에 따른) 운영상 문제점 등을 고려하지 않고 김포시는 또 다시 비용 절감을 위해 민간위탁 운영 방식을 그대로 이어나가려고 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비용 우선 정책을 앞세워 끼워 맞추기 사업비 산정과 원칙이 무시된 채 추진되는 불안한 방식의 민간위탁을 명확히 반대한다”며 “중대재해 발생 우려가 있는 김포골드라인은 공공성 강화를 위해 전반적인 개선이 절대적으로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김포골드라인은 부족한 운영 인력과 높은 혼잡도로 인해 이용객의 안전 문제가 끊임없이 지적된 바 있다. 노조는 이 같은 문제들이 비용 절감을 최우선으로 할 수밖에 없는 민간위탁 운영이 낳은 부작용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노조는 “1인 역사 근무, 비전공 업무를 지시하는 ‘통섭형 근무’, 유사한 무인경전철인 인천2호선과 비교해 현저히 적은 유지관리 인력수, 숙련된 직원 이탈, 비용 절감을 우선시하는 민간 위탁 체제 문제, 시민 편의성 저하, 낮은 사업비 측정, 저가 경쟁입찰을 유도해 적정한 비용으로 운영될 수 없는 문제 등이 있었다”며 “이는 김포시, 김포시민, 김포골드라인 직원 등 이해당사자들 모두 인지하고 있는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이러한 문제들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 김포시가 책임지고 직접 운영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결론이 ‘김포도시철도공단 설립 타당성 용역’ 및 ‘공단 설립 주민공청회’ 등을 통해 확인됐다”며 “그러나 지난 5월 31일 김포도시철도공단 설립 심의 부결로 김포시는 책임 있는 태도를 외면하고 말았다”고 비판했다.

    노조는 김포골드라인 운영 방식을 김포시청이 독자적으로 결정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김포골드라인은 총 사업비 1조 5천억 원 중 김포한강신도시 입주민의 광역교통시설 분담금 1조 2천억 원을 투입해 건설됐다. 도시철도의 지분 80%가 주민에게 있는 철도교통시설인 만큼, 민간위탁 대상 사업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 주민의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노조는 ▲연간 운영비 추정가격 350억원 이상 확보 ▲운영 인력 부족 등 김포골드라인 운영상 드러난 현재의 문제점 전부 개선 ▲김포한강신도시 주민의 요구사항을 김포골드라인 운영 방식 반영 등을 촉구했다.

    필자소개
    레디앙 취재기자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