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은행 직원 600억 횡령사건
    “은행 감시·감독체계의 총체적 부실 결과”
    금융소비자연대회의 "횡령사건 가장 큰 책임은 은행과 은행장"
        2022년 05월 13일 02:20 오후

    Print Friendly, PDF & Email

    우리은행 직원의 600억원 횡령 사건에 대해 금융시민단체들은 “은행 내·외부 감시·감독 체계의 총체적 부실 드러났다”며 이원덕 우리은행장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금융정의연대·민변 민생경제위원회·주빌리은행·참여연대·한국파산회생변호사회로 구성된 ‘금융소비자연대회의’는 11일 낸 공동논평에서 “시중은행에서 거액의 횡령 사건이 10년에 걸쳐 일어났음에도 책임관리자인 은행부터 감독당국까지 몰랐다는 사실에 국민들은 강한 지탄을 보내고 있다”며 “모든 은행들에 대한 강도 높은 검사와 엄격한 감독이 시행되도록 금감원의 감시·감독 체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우리은행 본점 직원 A씨는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회사 계좌에서 개인계좌로 모두 614억 원을 빼돌렸다. 횡령금은 대부분 우리은행이 주관하는 대우일렉트로닉스 매각에 참여한 이란 가전업체 엔텍합이 채권단에 지급한 계약보증금으로, 이란 기업 측에 돌려줘야 할 자금이었다. 경찰은 지난 4월 A씨를 체포하고 구속했다.

    금융소비자연대회의는 우리은행이 이번 횡령 사건의 가장 큰 책임자라고 지목했다. 이 단체는 “시중은행은 자체적으로 대규모 감사실을 운영하고 있음에도, 10년 동안 아무런 사실도 적발하지 못했다는 것은 우리은행의 내부통제시스템이 유명무실한 형식적 시스템에 불과했다는 의미”라고 지적했다. 이들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A씨를 ‘대우 일렉트로닉스 M&A매각 등을 통한 부실채권 회수’라는 공적 사유로 금융위에 표창장 수여자로 추천해 금융위는 A씨에게 표창장을 수여했다.

    이원덕 우리은행장의 책임론도 제기된다. 이 은행장은 횡령이 벌어졌던 2017년 12월부터 2020년 2월까지 경영기획그룹장이자 내부회계관리자로 일했다.

    이 단체는 “횡령액이 거액이고 은행 내·외부의 감시·감독 체계가 총동원됐음에도 10년 동안 적발되지 않았고, 이 직원이 같은 업무를 장기간 담당하는 등 우리은행의 내부통제 책임도 명백하다”며 “따라서 개인의 일탈로 결론지을 것이 아니라 이원덕 은행장과 손태승 전 은행장을 비롯한 내부통제 관리자를 강도 높게 징계하고 재발방지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금감원과 금융위에 대해서도 횡령 사건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비판했다.

    금융소비자연대회의는 “금감원은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우리은행에 대해 11차례의 종합 및 부분검사를 하고도 횡령을 적발하지 못했다. 금감원의 감시·감독 체계마저 무용지물이었던 셈”이라며 “감독체계 자체에 대한 전반적인 감사와 전면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달 내 본감사를 하겠고 한 감사원은 금감원뿐 아니라 금융위에 대한 감사도 실시해 우리은행 직원의 금융위원장 표창장 수여 경위와 인사 발령 개입 의혹 등도 함께 밝혀야 한다”고 덧붙였다.

    필자소개
    레디앙 취재기자

    페이스북 댓글